자전거를 탈 때는 타이어에 적정 공기압을 넣어야 한다는 말은 아주 많이 들었는데,
대체 그 적정한 값이 얼마인지가 궁금해서 검색을 시작했다.
방법은 세 가지 정도였다.
1. 일단 넣고 타면서 조금씩 조절한다.
2. 타이어의 수용한계 최대 압력의 80~90%를 넣어라.
3. 계산 사이트를 이용한다.
1번, 2번은 각자 본인이 해결해야 할 몫이니 나는 3번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해보려고 한다.
일단 스램 사이트를 소개한다.
https://axs.sram.com/guides/tire/pressure
SRAM | AXS
axs.sram.com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면 계산해준다.
입력정보 설명
1. Mass Units : 무게 단위를 선택한다. KG or LBS(파운드)를 선택가능하다.
2. Pressure Units : 계산할 압력단위를 무엇으로 표시할 지 선택한다. psi와 bar 중에서 선택
3. 라이더 체중 : 내 몸무게, 장비, 의류등을 고려하여 입력한다.
4. 라이드 스타일 : 다양한 옵션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출퇴근, 자전거도로를 이용할거라 로드를 선택했다.
5. 자전거 무게 : 체중계가 있다면 측정이 가능하다.
방법은 내 몸무게 한 번 재보고, 자전거들고 체중계 올라가서 재보면 된다.
6. 휠직경 : 내 타이어는 27.5인치여서 650b를 선택
7. 앞 타이어 너비
8. 리어 타이어 폭
-> 1.95인치 타이어여서 대략 50mm로 선택
9. 내부 림 폭 : 버니어 캘리퍼스로 실측해보니 33mm였다.
-> 타이어 스펙을 참고하거나, 외부림폭을 잰 후 4~5mm정도 빼주면 대략적으로 맞다.
10. 앞/리어 타이어 케이싱 : 잘 몰라서 '기준'을 선택
11. 타이어 타입 : 일반적인 타이어인 튜브선택
12. 노면 : 비오면 안 탈거기 때문에 '건조'선택
그결과 프론트 32, 리어 34라는 압력이 나왔다.
그동안 50psi정도 넣고 다녔는데, 와~ 정말 잘못된 압력이었음을 느낀다.
참고로 이 웹사이트는 zipp휠셋에 최적화되어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체중, 라이드 스타일, 휠등 여러가지 옵션을 변경해보면서 결과값을 살펴보면
환경의 변화에 따라 타이어 적정 공기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공부도 되서 매우 유용하다.
아래 사진은 내가 입력한 옵션과 결과값을 캡처한 사진이다.
'자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튜닝 프로젝트] MTB자전거를 하이브리드로 2화 (0) | 2023.04.08 |
---|---|
[자전거튜닝 프로젝트] MTB자전거를 하이브리드로 1화 (0) | 2023.04.05 |
넓은 평페달 추천 (0) | 2023.04.05 |
자전거 적정 공기압 계산 2탄 (0) | 2023.04.01 |
DT Swiss R470 휠셋 무게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