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사용중인 스마트 TETRA 300자전거가 있는데, 장르는 MTB이다.
주용도는 출퇴근, 안양천라이딩이다.
이용하는 길은 95%이상이 자전거도로, 일반도로가 되시겠다.
험한 길이 없기 때문에 현재 27.5인치 1.95인치 의 바퀴대신에 로드휠과 타이어를 장착해볼 생각이다.
쉽지 않은 이유는 27.5인치 휠을 28인치(700c)로 바꾸어야 하고 이에 따라 타이어도 바꾸어야 하기때문이다.
다행이도 내 자전거가 디스크브레이크 인지라 휠사이즈가 1cm정도 커지는건 크게 문제되지 않으리라 보인다.
참고로 림브레이크 자전거의 휠사이즈의 변경은 브레이크 갤리퍼의 위치이동이 문제가 된다.
휠셋을 바꾸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고려해야 될 부분이 있다.
1. 자전거 액슬의 장착방식 (QR, 쓰루액슬)
내 자전거는 QR방식의 자전거였다. 최근에는 쓰루액슬방식이 많아지고 있으나, QR방식이 더 많으니 확인해야한다.
휠셋마다 QR과 쓰루액슬을 전환할 수 있는 어댑터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불가능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한다. 어댑터를 써야하는 경우라면 시간적, 정신적 소모가 심하므로 되도록이면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어댑터와 관련된 정보는 검색해도 잘 나오지 않는다.
2. 브레이크 방식 (림브레이크, 디스크브레이크)
3. 타이어 클리어런스
타이어 클리어런스란 해당 휠에 장착 가능한 타이어의 폭이다.
내가 장착하기 원하는 타이어의 폭이 있다면 원하는 휠에 장착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4. 프리허브바디
스프라켓이 꽃혀지는 부분으로 스프라켓마다 프리허브바디의 모양이 몇 가지 달라지므로 이를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내게 맞는 휠의 스펙을 좀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 QR방식
2. 디스크브레이크
3. 32c~35c 타이어 장착가능
4. 시마노 11단이하 프리허브바디
5. 알루미늄휠셋
6. 700c = 28인치
대체적으로 휠셋이 QR & 림브레이크 방식이거나 쓰루액슬 & 디스크브레이크 방식이기 때문에,
QR & 디스크브레이크의 조합의 휠셋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자전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크로터에서 삑삑소리가 날 때 해결 (0) | 2023.04.11 |
---|---|
[자전거튜닝 프로젝트] MTB자전거를 하이브리드로 2화 (0) | 2023.04.08 |
넓은 평페달 추천 (0) | 2023.04.05 |
자전거 적정 공기압 계산 2탄 (0) | 2023.04.01 |
DT Swiss R470 휠셋 무게 (0) | 2023.03.23 |